웹팩의 등장배경 모듈시스템
모듈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. 문법 수준에서 모듈을 지원하기 시작한 것은 ES2015부터다. import/export 구문이 없었던 모듈 이전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웹팩 등장 배경을 설명하는데 수월 할 것이다.
모듈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. 문법 수준에서 모듈을 지원하기 시작한 것은 ES2015부터다. import/export 구문이 없었던 모듈 이전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웹팩 등장 배경을 설명하는데 수월 할 것이다.
웹팩은 자바스크립트를 모듈로 만들어준다. 모든 시작점을 엔트리 or 엔트리포인트 라고 부른다.
웹팩이 js, png, sass, cjs 등 모두 모듈로 본다라고 했다. 이런것들 자바스크립트에서 모두 import해서 개발할수 있게끔 제공해준다. 이런 환경을 제공해주는 역할이 웹팩의 **로더**가 하는 역할이다.
웹팩이 각 모듈들이 로더가 처리한 후 웹팩이 처리된 파일들을 하나로 모은다. 하나로 만들어 내기 전에 후처리를 해준다. 빈칸을 줄이거나 변수명을 바꾸거나 이러한것들을 해주는 것이 **플러그인**이다.
바벨은 ECMAScript2015 이상의 코드를 적당한 하위 버전으로 바꾸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. 이렇게 바뀐 코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구버전 브라우져처럼 최신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이해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잘 동작한다.
스타일 따위를 점검하는 것을 [린트(Lint) 혹은 린터(Linter)](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Lint_(software))라고 부른다